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한국 지사로, 1992년 설립되어 영화 수입/배급, 방송 프로그램 배급, 스트리밍 서비스, 상품 라이선싱 등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1990년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를 통해 디즈니 영화를 처음 선보인 이후, 1992년 직배 체제로 전환하여 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를 설립했다. 2006년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와 합작 회사를 설립했으며, 2010년대에는 영화 겨울왕국의 흥행과 디즈니 채널, 디즈니 주니어 운영을 통해 전성기를 맞았다. 2015년에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와의 협력을 종료하고, 2021년에는 디즈니+를 한국에 출시했다. 2024년 현재까지 다양한 영화를 수입 및 배급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다양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외국계 기업 - 유한킴벌리
유한킴벌리는 1970년에 설립되어 생리대, 미용티슈, 기저귀, 화장지, 티슈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제조 및 판매하며 국내 시장을 선도하고 사회공헌 활동과 워라밸 개선에도 힘쓰는 대한민국의 기업이다. - 대한민국의 외국계 기업 - LG유니참
LG유니참은 1980년대 기술 제휴를 시작으로 여러 변화를 거쳐 2006년 LG생활건강의 자회사로 재설립되었으며, 유아용 기저귀, 여성용 생리대, 성인용 기저귀, 화장솜, 반려동물 용품 등을 판매한다.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자회사 - 폭스 엔터테인먼트 그룹
1980년대 루퍼트 머독의 뉴스 코퍼레이션이 설립한 폭스 엔터테인먼트 그룹은 20세기 폭스 영화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폭스 방송, 폭스 키즈 월드와이드 등의 자회사를 거느리며 성장했으나, 2019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인수되어 자산이 디즈니에 편입되었다.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자회사 - ABC (미국의 방송사)
ABC는 NBC 블루 네트워크에서 시작하여 American Broadcasting Company로 개명 후, 여러 합병과 인수를 거쳐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인수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방영하는 미국의 주요 방송 네트워크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 - CGV
CGV는 1995년 CJ제일제당의 극장 사업팀으로 시작하여 1998년 강변에 1호점을 개관한 후 국내외로 확장하며 4DX, IMAX, ScreenX 등 특별관을 운영하고 영화관을 복합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는 대한민국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다. - 대한민국의 영화 배급사 - CJ ENM
CJ ENM은 200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미디어, 커머스,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여러 채널 운영과 영화 제작 및 배급, 온라인 커머스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투표 조작 및 광고 논란 등의 문제도 겪었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영어 이름 | The Walt Disney Company (Korea), LLC. |
형태 | 유한책임회사 |
창립일 | 1992년 11월 19일 |
이전 회사 | 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 월트 디즈니 컴패니 코리아㈜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 152 ( 역삼1동 737) 강남파이넨스센터 7층 |
사업 지역 | 대한민국 |
대표 | 김소연 (대표이사) |
산업 | 영화수입배급업 상품라이센스 VOD서비스업 OTT서비스 공연업 행사업 이벤트업 방송 프로그램 제작업 유선방송업 프로그램 공급업 |
종업원 | 88명 (2016년) |
웹사이트 |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웹사이트 |
![]() | |
주주 | 싱가포르 The Walt Disney Company (Asia) Inc. : 100% |
2. 역사
1992년 11월 19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임대 계약 방식에서 직접 배급(직배) 운영 체제로 전환하고, 한국 내 마지막 직배 회사인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한국 지사를 설립했다.[1]
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는 성인 등급의 일반 영화를 수입/배급하고,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월트 디즈니 픽처스 계열 애니메이션 수입/배급 사업과 캐릭터 및 비디오 라이선스 사업을 담당했다. 이후 한국 지사는 여러 차례 사업 제휴, 인수 합병, 서비스 확장을 거치며 성장했다.
2006년 12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와 합작 회사인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를 설립하여 영화 수입/배급을 담당했다.[2] 2011년 7월 1일 디즈니 채널, 7월 11일 디즈니 주니어에서 한국어 더빙 및 음성 다중 서비스 방송을 시작했다.
2014년 11월,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한국 지사 해체로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디즈니 영화 배급권, TV 채널 운영권, 마케팅 라이선스 등 디즈니의 모든 사업 분야를 독점하게 되었다. 2019년 10월에는 영화 사업 부문을 20세기폭스코리아 합병 방식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2020년 2월,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2021년에 OTT 서비스 디즈니+를 한국에 진출시킬 계획이라고 발표했고, 2021년 11월 12일 실제로 출시되었다. 이에 앞서 2021년 10월 1일 디즈니 채널과 디즈니 주니어의 송출이 종료되었다. 2023년 9월 30일에는 케이블/IPTV 다큐멘터리 채널 내셔널지오그래픽과 냇지오 와일드를 폐국하여 모든 디즈니 콘텐츠 공개 경로를 디즈니+로 통합했다.
2. 1. 1990년 ~ 1992년 11월 (설립 초기)
1990년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는 영화 '칵테일'을 시작으로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가 한국에 정식으로 진출하기 전까지 디즈니 계열사 제작 극장 상영물의 수입 및 배급을 담당했고, 삼성물산의 영화 사업 부문인 드림박스는 비디오를 공급 및 판매했다.[1]1992년 4월 3일 한국방송공사와 디즈니 만화동산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4월 11일 KBS1에서 첫 방영을 시작했고, 10월 11일 KBS2로 채널을 변경하여 방영했다.[1]
국가 | 제목 | 종류 | 배급 | 제공 | 공동제공 | 제작 |
---|---|---|---|---|---|---|
United States|미국영어 | 《칵테일》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Interscope Communications |
United States|미국영어 | 《죽은 시인의 사회》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Steven Haft |
United States|미국영어 |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Silver Screen Partners IV | ||
United States|미국영어 | 《귀여운 여인》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Arnon Milchan |
United States|미국영어 | 《뉴욕 세 남자와 아기》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II | Jean-François Lepetit, Interscope Communications |
United States|미국영어 | 《애들이 줄었어요》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II |
2. 2. 1992년 11월 ~ 1999년 (직배 체제 전환 및 한국 지사 설립)
1992년 11월 19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임대 계약 방식에서 직접 배급(직배) 운영 체제로 전환하고, 한국 내 마지막 직배 회사인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한국 지사를 설립했다.[1]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는 성인 등급의 일반 영화를 수입/배급하고,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월트 디즈니 픽처스 계열 애니메이션 수입/배급 사업과 캐릭터 및 비디오 라이선스 사업을 담당하게 되었다. 드림박스와의 제휴 관계는 종료되었고, 신한 프로덕션과 새롭게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디즈니 계열사 제작 영화들의 비디오 판매 권한을 획득했다.[1]
1999년 2월에는 KD미디어(현 SM라이프디자인그룹)와 디즈니 영화 콘텐츠 계약을 체결했다.
2. 3. 2000년 ~ 2006년
2001년 7월 월트 디즈니 컴퍼니 한국지사를 강남파이낸스센터로 이전했다.2002년 6월 디즈니 채널을 한국에 런칭했으며, 방송 화면에 한글 자막을 넣어 방송하는 형태로 시작되었다.
2004년 4월 미키 마우스와 도날드 덕 클래식의 대한민국 재능TV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004년 6월 미취학 아동 대상 전문 채널 플레이하우스 디즈니를 한국에 런칭했다.
2006년 1월 디즈니는 픽사를 약 74억달러 (픽사 주식 1주당 디즈니 주식 2.3주)에 인수할 것을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2006년 12월 대한민국 내 영화 시장 변화와 직배 시장 입지 축소로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미국 영화 첫 합작 회사인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를 설립하였다.[2] 이 회사는 디즈니 및 소니 제작 영화의 수입/배급을 담당한다.
2. 4. 2007년 ~ 2011년 (제2의 창사 시작)
2007년 2월 11일 한국방송공사와 미키마우스 클럽하우스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월 16일에 KBS2 첫 방송)2009년에는 한국교육방송공사와 리틀 아인슈타인, 만능 수리공 매니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010년에는 한국교육방송공사와 내 친구 티거와 푸, 특수요원 오소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011년에는 한국교육방송공사와 좌충우돌 형제(피니와 퍼브)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디즈니 채널, 디즈니 주니어의 TV 채널 운영권, 마케팅 라이센스에만 전념하게 되었다. 2010년 5월, 디즈니 채널을 소유하고 있는 디즈니 채널 인터내셔널과 SK텔레콤이 합작 법인인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 (Television Media Korea)를 설립했다. 2011년 7월 1일부터 디즈니 채널에서 한국어 더빙 및 음성 다중 서비스 방송을 시작했고, 7월 11일부터는 디즈니 주니어에서 한국어 더빙 및 음성 다중 서비스 방송을 시작했다. 2011년 10월, 최대 주주가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에서 SK플래닛으로 변경되었다.
2. 5. 2012년 ~ 2017년 (전성기)
2012년 11월, 티몬과 품바의 'SAFETY SMART'가 한국에서 처음 방영되었다.2013년 5월, 마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대한민국 투니버스에 방영하는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같은 해 5월 1일부터 5월 29일까지 한전아트센터 갤러리에서 디즈니 클래식 애니메이션과 함께하는 아트토이 특별전을 진행했다.
2014년 1월, 영화 겨울왕국이 대한민국 개봉 당시 예매율 1위를 달성하고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 총 관객 수는 1029만 명을 기록했다. 같은 해 3월, 영화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이 대한민국 서울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했다. 같은 해 11월, 세계 경제 불황으로 인한 영화 사업 축소와 디 인터뷰 해킹 사건으로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가 긴급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한국 지사가 해체되었다. 이에 따라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디즈니 영화 배급권, TV 채널 운영권, 마케팅 라이선스 등 디즈니의 모든 사업 분야를 독점하게 되었다.
2015년 1월, 글로벌 안전과학회사 UL과 디즈니 채널 어린이 안전교육 캠페인 협업을 진행했다. 같은 해 9월, SK플래닛은 보유하고 있던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 주식 전량을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에 매각했다. 10월에는 TV 애니메이션 스타워즈 반란군을 대한민국 대원방송 계열 3사 채널에 방영하는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016년 2월, 디즈니 채널 한국판 운영 회사를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에서 디즈니채널코리아 유한회사로 변경했다. 같은 해 10월,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한국 법인 형태를 유한책임회사로 개편했다.
2017년 2월, 디즈니의 첫 한국 영화 그래, 가족이 상영을 시작했다. 같은 해 3월 말부터 4월 초까지 영화 블랙 팬서가 대한민국 부산에서 로케이션 촬영을 진행했다.
2. 6. 2017년 12월 ~ 2020년 2월 (21세기 폭스 인수 후)
2018년 4월 21일, 아시아 최초로 마블 테마 러닝 행사 '마블런(Marvel Run)'을 진행했다.2018년 5월 3일부터 12일까지 전주국제영화제 기간 동안 전주 기린 오피스텔 3층에서 '디즈니 판타지아 전시회'를 진행하여 디즈니 캐릭터를 전시하고 30여 편의 영화를 상영했다.
2018년 11월 27일부터 12월 1일까지 미키 마우스 90주년 기념행사 '미키 인 서울'을 진행했다. 미키 마우스는 3박 4일간 서울을 방문했다.
2019년 2월 21일부터 3월 14일까지 서울 이태원 꿀하우스에서 '2019 에브리데이 푸' 캠페인을 진행했다.
2019년 3월 25일, LG유플러스와 마블 캐릭터 IP(지적 재산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2019년 4월 19일부터 8월 18일까지 동대문 DDP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 특별전'을 진행하여 100년에 걸친 디즈니 애니메이션 역사를 총 500여 점의 전시물로 보여주었다.
2019년 10월, 영화 사업 부문을 20세기폭스코리아 합병 방식으로 운영하기 시작했다.
2019년 11월, 겨울왕국의 속편 겨울왕국 2가 대한민국 개봉 당시 예매율 1위를 달성하고, 전편의 1000만 명 관객 기록을 넘어선 13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2020년 1월, 다큐멘터리 채널 내셔널 지오그래픽 코리아 운영권을 인수했다.
2020년 1월, '2020 경자년 새해 맞이 해피미키이어' 캠페인을 진행했다.
2020년 2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영화 개봉 일정이 지연되거나 변경되고, 전 세계 방송 프로그램 공급에 차질이 생겼다.
2. 7. 2020년 2월 ~ 2021년 12월 (OTT 서비스 디즈니+의 한국 진출)
2020년 2월,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OTT 서비스 디즈니+를 2021년에 대한민국에 진출시킬 계획이라고 발표했다.같은 해 2월, 1020세대를 격려하기 위한 '디즈니 프린세스 나의 이야기' 캠페인을 진행했다.
2020년 3월에는 PIXAR와 CJ ENM 티비엔프렌즈의 콜라보레이션 캠페인 '무한함 상상, 끝없는 즐거움'을 진행했고, 3월 23일부터 4월 21일까지는 '2020 에브리데이 푸' 캠페인을 진행했다.
2020년 4월 13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 계열의 미국 스포츠 전문 방송 매체인 ESPN과 한국야구위원회(KBO)가 2020 KBO 리그 중계권 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5월에는 ESPN을 통해 2020 KBO 리그가 미국 전역에 처음으로 방송되었다.
같은 해 5월, 대원미디어와 마블 완구(피규어 등)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학생복 전문 브랜드 스쿨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020년 6월 18일부터 7월 말까지는 영화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개봉을 기념하여 다양한 온/오프라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상상 그 이상 PIXAR' 캠페인을 진행했다. (픽사 캠퍼스 2020은 6월 19일부터 시작)
2020년 10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마블 프랜차이즈 캠페인 '마블 매니아(Marvel Mania Be A Hero)'를 진행했다.
2021년 1월 20일부터 3월 2일까지는 디즈니 프랜차이즈 캠페인 '미키스타일챌린지(Mickey And Friends Better Together)'를 진행했다.
2021년 11월 12일, 디즈니+가 한국에 출시되었다. 이에 앞서 10월 1일, 디즈니 채널과 디즈니 주니어의 송출이 종료되었다.
같은 해 11월 20일, 디즈니+는 대한민국의 종합편성채널인 JTBC와 예능 및 드라마 콘텐츠 협약을 체결했다.
2. 8. 2022년 1월 1일 ~ 2024년 10월 31일 (디즈니 창립 100주년 준비)
2022년 4월, SM라이프디자인그룹과의 디즈니 DVD 계약이 만료되었다.[1]2022년 5월 3일부터 5일까지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SSG 랜더스와 함께하는 '스타워즈 데이'가 진행되었다.[2]
2022년 6월 21일,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IP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10월,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 메인홀에서 디즈니 100주년 맞이 디즈니+ APAC 쇼케이스가 진행되었다.
2022년 11월 19일, 월트 디즈니 컴퍼니 한국 법인 설립 30주년을 맞이했다.
2023년 1월 6일부터 22일까지, 송원아트센터 팝업스토어에서 디즈니 100주년 기념 특별 팝업스토어 '매지컬 디즈니(Magical Disney)'가 진행되었다.
2023년 9월 30일, 케이블/IPTV 다큐멘터리 채널 내셔널지오그래픽과 냇지오 와일드를 폐국하여 모든 디즈니 콘텐츠 공개 경로를 디즈니+로 통합했다.
2023년 10월 15일,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에서 '마블런 2023'이 4년 만에 개최되었다.
2023년 12월 16일, 영화 위시 개봉을 기념하여 누디트 서울숲에서 디즈니 창립 100주년 팝업 'House Of Wish'가 열렸다. (2024년 1월 10일까지)
2024년 9월 28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세종대로 덕수궁에서 국가유산청과 협업하여 '미키 인(in) 덕수궁: 아트, 경계를 넘어서'를 열었다.
3. 사업 부문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영화 수입/배급, 방송 프로그램 배급, 더빙 녹음,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 상품 라이선싱, 온라인/게임, 공연 및 이벤트 등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고 있다.
사업 부문 | 상세 내용 |
---|---|
영화 수입/배급 | 월트 디즈니 픽처스,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마블 스튜디오, 루카스필름, 20세기 스튜디오, 서치라이트 픽처스 등의 영화를 수입/배급한다. |
방송 프로그램 배급 | ABC 뉴스 스튜디오, ABC 시그니처,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마블 애니메이션, 20세기 텔레비전 등 다양한 제작사의 프로그램을 국내에 배급한다. |
더빙 녹음 | 디즈니 캐릭터 보이스 인터내셔널을 통해 디즈니 작품의 한국어 더빙을 제작하며, 높은 품질로 평가받는다. |
스트리밍 서비스 | 디즈니+를 통해 다양한 디즈니 콘텐츠를 제공한다. |
상품 라이선싱 |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 주요 프랜차이즈의 상품 라이선싱 사업을 전개한다. |
온라인/게임 | 온라인 콘텐츠 및 게임을 개발하고 유통한다. |
공연/행사 | 디즈니 인 콘서트, 디즈니 온 아이스, 마블 런 등 다양한 공연 및 행사를 개최한다. |
이벤트 |
3. 1. 영화 수입/배급 사업
월트 디즈니가 한국에 처음으로 들어오기 전에는 임대 계약 방식을 통해 디즈니 계열사 제작 영화들을 공급 및 판매하였다. 1990년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에서 '칵테일'을 시작으로 한국 정식 상륙 전까지 디즈니 계열사에서 제작한 극장 상영물의 수입/배급 사업을 맡았고, 삼성물산의 영화 사업부문인 드림박스가 비디오를 공급/판매했다.[1]1992년 11월 19일, 임대 계약 방식의 운영 방식을 버리고 직배 운영 체제로 전환, 대한민국 마지막 직배회사인 월트 디즈니 컴패니 코리아/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한국 지사를 설립했다. 이로써 브에나 비스타 인터내셔널 코리아는 성인 등급의 일반 영화를 수입/배급하고, 월트 디즈니 컴패니 코리아는 월트 디즈니 픽처스 계열의 애니메이션 수입/배급 사업과 캐릭터 및 비디오 라이센스 사업을 통해 회사를 꾸려나가게 되었으며, 드림박스와의 제휴 관계를 청산하고 신한 프로덕션과 새롭게 파트너십을 맺고 디즈니 계열사 제작 영화들의 비디오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다.[1]
2006년 12월, 대한민국 내 영화 시장이 변하는 상황에서 직배 시장의 입지가 좁아지자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와 함께 미국 영화 첫 합작 회사인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를 설립하였다.[2] 따라서 '''소니 픽처스 릴리징 브에나 비스타 영화'''는 디즈니 및 소니의 제작 영화 수입/배급을 맡는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다음과 같은 스튜디오의 영화를 수입/배급한다.
- 월트 디즈니 픽처스 (터치스톤 픽처스/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 디즈니 네이처
- 마블 엔터테인먼트
- 마블 스튜디오
- 루카스필름
- 20세기 스튜디오 (舊: 20세기 폭스/블루 스카이 스튜디오)
- 서치라이트 픽처스 (舊: 폭스 서치라이트 픽처스)
3. 2. 방송 프로그램 배급 사업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다음 제작사 및 스튜디오의 프로그램을 대한민국에 배급한다.- ABC 뉴스 스튜디오
- ABC 시그니처 (구 ABC 스튜디오)
- ABC 엔터테인먼트
-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구 월트 디즈니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It's a Laugh Productions
- 마블 애니메이션
- 20세기 텔레비전 (구 20세기 폭스 텔레비전)
- 20세기 애니메이션 (구 폭스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그 외 국내외 제작 수입사
2004년 4월 JEI재능방송에 미키마우스와 도날드 덕 클래식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1] 2007년 2월 11일 한국방송공사에 디즈니 만화동산 후속 프로그램인 미키마우스 클럽하우스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월 16일 KBS2 첫 방송).[2]
2009년 한국교육방송공사에 리틀 아인슈타인, 만능 수리공 매니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고, 2010년에는 내 친구 티거와 푸, 특수요원 오소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2011년 좌충우돌 형제(피니와 퍼브) 방영권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3. 3. 더빙 녹음 사업
디즈니 캐릭터 보이스 인터내셔널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한 부서로, 전 세계 디즈니 작품의 더빙 품질을 관리한다. 특히 한국어 더빙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는데, 이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과 한국어 더빙에 대한 디즈니의 높은 기대치를 반영한다.한국어 더빙 제작 과정은 먼저 원작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면서도 한국 문화에 맞게 현지화하는 데 중점을 둔 번역을 거친다. 번역된 대본을 바탕으로 오디션을 통해 적합한 성우를 선정한다. 성우들은 캐릭터의 감정을 풍부하게 표현하고, 한국어 대사의 자연스러움을 살리기 위해 노력한다. 녹음 후에는 믹싱 및 편집 과정을 거쳐 최종 더빙 버전이 완성된다.
3. 4. 스트리밍 서비스 부문
2020년 2월 디즈니+의 대한민국 진출 목표를 2021년으로 발표했다.[2] 2021년 11월 12일 디즈니+가 한국에 출시되었고, 이에 앞서 10월 1일 디즈니 채널과 디즈니 주니어 송출이 종료되었다.[2] 2021년 11월 20일 디즈니+는 JTBC와 예능 및 드라마 콘텐츠 협약을 체결했다.[2] 2023년 9월 30일 케이블/IPTV 다큐멘터리 채널 내셔널 지오그래픽과 냇지오 와일드가 폐국되면서, 모든 디즈니 콘텐츠 공개 경로가 디즈니+로 일원화되었다.[2]3. 5. 상품 라이선싱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 주요 프랜차이즈의 상품 라이선싱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2019년에는 LG유플러스와 마블 캐릭터 지적 재산권(IP)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2] 2020년에는 대원미디어와 마블 완구(피규어 등)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 학생복 전문 브랜드 스쿨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2022년에는 온라인 패션 플랫폼 무신사와 IP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3. 6. 온라인/게임 부문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는 온라인 콘텐츠 및 게임을 개발하고 유통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3. 7. 공연/행사 부문
- '''디즈니 인 콘서트'''
- '''디즈니 온 아이스'''
- '''마블 런'''
- 2018년 4월 21일, 아시아 최초로 마블 테마 러닝 행사 '''마블런'''(Marvel Run)을 진행하였다.[2]
- 2023년 10월 15일, 여의도공원 문화의마당에서 '마블런 2023'이 4년 만에 개최되었다.[2]
3. 8. 이벤트 부문
- 디즈니 인 콘서트
- 디즈니 온 아이스
- 마블 런
4. 주요 작품 목록 (영화)
국가 | 제목 | 종류 | 배급 | 제공 | 공동제공 | 제작 |
---|---|---|---|---|---|---|
미국 | 《칵테일》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Interscope Communications |
미국 | 《죽은 시인의 사회》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Steven Haft |
미국 | 《누가 로저 래빗을 모함했나》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Silver Screen Partners IV | 터치스톤 픽처스,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Silver Screen Partners IV | |
미국 | 《귀여운 여인》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Arnon Milchan |
미국 | 《뉴욕 세 남자와 아기》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II | Jean-François Lepetit, Interscope Communications |
미국 | 《애들이 줄었어요》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II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미국 | 《딕 트레이시》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터치스톤 픽처스 |
미국 | 《아빠 셋 엄마 하나》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터치스톤 픽처스 | Jean-François Lepetit, Interscope Communications |
미국 | 《결혼하는 남자》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할리우드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David Permut |
미국 | 《환타지아》 | 애니메이션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
미국 | 《늑대개》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미국 | 《녹색카드》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터치스톤 픽처스 | 터치스톤 픽처스 |
미국 | 《인어공주》 | 애니메이션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월트 디즈니 피처 애니메이션 | 월트 디즈니 피처 애니메이션 |
미국 | 《인간 로켓티어》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The Gordon Company |
미국 | 《요람을 흔드는 손》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할리우드 픽처스 | Nomura Babcock & Brown | Interscope Communications |
미국 | 《신부의 아버지》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Touchwood Pacific Partners I | Sandy Gallin |
미국 | 《행복했던 여자》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Michael Finnell |
미국 | 《아라크네의 비밀》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할리우드 픽처스,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 할리우드 픽처스,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 할리우드 픽처스,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
미국 | 《미녀와 야수》 | 애니메이션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픽처스 | Silver Screen Partners IV | 월트 디즈니 피처 애니메이션 |
미국 | 《빌리 배스게이트》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터치스톤 픽처스 | Touchwood Pacific Partners I | 터치스톤 픽처스 |
미국 | 《원시 틴에이져》 | 실사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할리우드 픽처스 | Touchwood Pacific Partners I | 할리우드 픽처스 |
미국 | 《피터 팬》 | 애니메이션 |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
참조
[1]
문서
1993년 12월 23일, 시장 확장에 따른 누적 적자의 가중으로 신한프로덕션이 최종 부도를 내게되면서, 다른 파트너사를 구할때까지 브에나 비스타가 판매까지 담당했지만 1994년 4월부터, 삼성물산의 또 다른 영화 사업부문인 스타맥스를 통해서 비디오 판매를 이어 나가게 된다.
[2]
뉴스
소니-디즈니 손 잡는다
https://news.naver.c[...]
씨네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